부트캠프 기록/Section4

[인증/보안] mkcert를 이용한 인증서 발급 및 HTTPS 서버 구현과 그 과정에서 마주쳤던 에러들

bbangduck 2022. 11. 17. 21:53

실습 내용: mkcert를 이용한 인증서 발급 및 HTTPS 서버 구현

실습 목적: HTTPS의 개념 이해

실습 os: window10

 

1. Spring 웹 서버 프로젝트 생성

 

2. WSL 터미널에서 mkcert 설치

$ sudo apt install libnss3-tools
$ wget -O mkcert https://github.com/FiloSottile/mkcert/releases/download/v1.4.3/mkcert-v1.4.3-linux-amd64
$ chmod +x mkcert
$ sudo cp mkcert /usr/local/bin/


설치 안되는 경우
$ sudo apt update 후에 다시 설치

 

3. 인증서 생성

$ mkcert -pkcs12 localhost

 

4. 생성된 localhost.p12라는 파일을 프로젝의 resource 폴더로 이동시키고 실행

https 띄우기 성공

 

 

 


간략하게 줄여놓은 방법을 보니 상당히 쉬워보이는데요.

전 이 실습에 무려 두시간 넘게 쏟은 것 같습니다. 

제가 마주쳤던 에러를 기록해보고자 합니다.

 

 

1. WSL 실행안됨

 

해결방법

WSL2로 업데이트

 

 

참고 블로그

 

WSL1을 WSL2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 ubuntu18.04 WSL2 설정

소개 윈도우 환경에서 wsl를 이용해서 ubuntu18.04에 vscode를 실행할 때마다 자꾸만 밑에 이런 창이 뜨면서 WSL2 업데이트를 유도를 하길래 방법을 찾아봤다 WSL 1 vs WSL 2 WSL 1과는 다르게 WSL 2에선 Hyper-v

hacktiming.tistory.com

 

 

 

2. Permission Denied

해결방법: 터미널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3. 명령어 syntax 오류

해결 방법:  명령어를 제대로 숙지하자..

제대로 된 명령어
드디어 설치된 mkcert

 

 

 

감동적인 순간

 

적어놓고 보니 왜 두 시간이나 걸렸는지 의문이지만...

누군가 말하길   ; 하나 때문에 난 오류로 6시간을 보냈어도 괜찮다고 하더라고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사소한 오류로 시간이 오래 걸렸어도 좌절하거나 상심하지 마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