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용어
Cloud Computing
- 기존 서버 방식의 한계로 클라우드 서버가 등장
- 필요할 때마다 컴퓨팅 능력을 유연하게 조절
- 사용한 만큼의 요금만 지급
- 다른 컴퓨터로 즉시 이주(마이그레이션) 가능
- 제공 서비스 범위에 따른 클라우드 종류
- SaaS, PaaS, IaaS
Deploy
- 절대경로 대신 상대경로 사용
- 환경에 따라 포트를 분기할 수 있도록 환경변수를 설정
- 도커와 같은 개발 환경 자체를 통일시키는 솔루션 사용
EC2
- Elastic Compute Cloud
- 컴퓨터를 한 대 빌리는 것
- AMI를 통해 다양한 운영체제 선택 가능(CPU, RAM, 용량도)
RDS
-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데이터베이스 유지 보수와 관련된 일들을 전적으로 자동관리
- 오라클, 아마존 Aurora, MySQL, PostgreSQL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 선택 가능
S3
- Simple Storage Service
- 뛰어난 접근성
- 높은 확장성
- 높은 내구성
-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
- S3 Standard
- Standard-IA
- S3 Glacier Deep Archive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가능 (서버의 개입 없이 생성된 파일)
- 버킷, 객체(버킷에 담기는 파일)
- 버킷은 리전당 하나
서버 배포
프로세스 확인
lsof -PiTCP -sTCP:LISTEN
빌드작업
./gradlew build
ec2 인스턴스에서 서버 실행하기
java -jar build/libs/DeployServer-0.0.1-SNAPSHOT.jar
실행 권한 부여
chmod 755 restart.sh
쉘스크립트 작성해서 사용해보기
./restart
'부트캠프 기록 > Section4'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Docker (0) | 2022.12.06 |
---|---|
[Cloud] aws를 이용한 클라이언트 배포 (0) | 2022.12.06 |
[Spring WebFlux]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0) | 2022.11.29 |
[Spring Security] JWT 자격 증명을 위한 로그인 인증 구현 (0) | 2022.11.26 |
[Spring Security] OAuth2 란 (0) | 2022.11.25 |